불탑(佛塔)
원래 탑이란 무덤을 가르키는 말이다. 부처님 또는 덕이 높은 스님들의 유골(遺骨)이나 사리(舍利)를 모신 무덤을 탑이라고 한다. 부처님이 돌아가시자, 부처님의 유골과 사리를 여덟 나라가 공평하게 나누어 가져 탑을 세웠다. 즉, 탑은 부처님의 무덤인 동시에 신성한 예배의 대상이라는 두가지 성격을 갖춘 구조물로서 추앙을 받게 되었다.
탑은 재료에 따라 돌로 만든 석탑(石塔), 벽돌로 만든 전탑(塼塔), 나무로 만든 목탑(木塔), 기타 금속으로 만든 금탑, 은탑, 철탑(金塔, 銀塔, 鐵塔), 옥(玉)으로 만든 옥탑, 흙로 만든 흙탑 등이 있다. 예로부터 중국은 전탑, 일본은 목탑이라면, 우리나라는 석탑이 성행하였다.
[석탑] 우리나라에는 질이 좋은 화강암이 많은 관계로 현재 약 1,000개를 석탑이 있으며, 지금도 석탑을 많이 세운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석탑의 나라'라고 일컬을 수 있다. 분황사 모전석탑(국보 제30호)은 얼핏보기에는 전탑처럼 보이지만 안산암을 벽돌모양(模塼, 모전)으로 깎아 쌓아올린 석탑으로 신라 석탑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전탑] 전탑은 탑을 건립하기에 앞서 인공을 가하여 벽돌을 생산하여야 했기 때문에 일부에서만 건조되었다. 우리나라는 안동 신세동 7층전탑(8세기), 안동 조탑동 5층전탑(통일신라), 안동 동부동 5층전탑(통일신라), 경북 칠곡의 송림사 5층전탑(9세기), 경기도 여주의 신륵사 다층전탑(고려, 보물 226호) 등 5기의 전탑이 있는데, 안동지방 집중되어 있는 것이 매우 특이하며 석탑, 목탑에 비해 탑층수를 구분하는 옥개석이 미약한 것이 특징이다.
[목탑] 처음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되었을 때는 목탑이 많았으나 여러차례 병화(兵火)로 모두 타버리고 고대에 만들어졌던 목탑의 실물은 없다. 다만 목탑이 있었던 흔적으로는 경주 황룡사지 9층 목탑지 등이 남아있다. 그러나 조선시대 후기인 17세기 초반의 건축물인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 팔상전(국보 제55호)은 옛 목탑의 양식을 전해주는 유일한 것이다. 팔상전 안에는 부처님의 일대기를 그린 팔상도가 사방 2개씩 모셔져 있다.
우리시대의 최고 목수인 신영훈 선생님께서는 1984년에 소실된 전남 화순군 쌍봉사의 높이 약10 미터의 3층 목탑 대웅전(보물 제163호)을 최근에 재현하였으며, 충북 진천의 보탑사에 약 42미터의 3층 목탑을 1996년에 만들었다.
[더하기]
효심을 드리운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지리산 자락에 있는 화엄사는 신라 진흥왕 5년(544)에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세운 절로, 호남 제일의 사찰답게 많은 부속 건물과 국보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보물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보물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 보물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등의 중요한 유물들이 전해온다. 탑은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절 서북쪽의 높은 대지에 석등과 마주보고 서 있으며,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천인상(天人像)을 도드라지게 새겼는데, 악기와 꽃을 받치고 춤추며 찬미하는 등의 다양한 모습이 그려져 있다. 가장 주목되는 위층 기단은 암수 네 마리의 사자를 각 모퉁이에 기둥삼아 세워 놓은 구조로, 모두 앞을 바라보며 입을 벌린 채 날카로운 이를 드러내고 있다. 사자들에 에워싸여 있는 중앙에는 합장한 채 서있는 스님상이 있는데 이는 연기조사의 어머니라고 전하며, 바로 앞 석등의 탑을 향해 꿇어앉아 있는 스님상은 석등을 이고 어머니께 차를 공양하는 연기조사의 지극한 효성을 표현해 놓은 것이라 한다.
탑신은 1층 몸돌에 문짝 모양을 본떠 새기고, 양 옆으로 인왕상(仁王像), 사천왕상(四天王像), 보살상을 조각해 두었다. 평평한 경사를 보이고 있는 지붕돌은 밑면에 5단씩의 받침이 있으며,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의 받침돌인 노반(露盤)과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만이 남아있다.
각 부분의 조각이 뛰어나며, 지붕돌에서 경쾌한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어 통일신라 전성기인 8세기 중엽에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위층 기단의 사자조각은 탑 구성의 한 역할을 하고 있어 국보 경주 불국사 다보탑과 더불어 우리나라 이형(異形)석탑의 쌍벽을 이루고 있다.
종교 화합의 의미를 전하는
<길상사 칠층 석탑>
길상7층보탑(吉祥七層寶塔)은 조선 중기(1600~1650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지혜와 용맹을 상징하는 네마리의 암수 사자가 기둥 역할을 하며 입을 연 두 마리는 교(教)를 상징하고, 입을 다문 두 마리는 선(禪)을 상징한다. 4사자 가운데 모셔진 석가모니 부처님의 수인手印은 정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선정인(禪定印),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통인通印(시무외인施無畏印+여원인與願印), 전법륜인(轉法輪印)을 하고 있다.
이 탑은 영안모자 백성학 회장님이 법정스님과 길상화보살님의 고귀한 뜻을 기리고, 종교화합의 의미를 전하고자 무상으로 기증하였으며 2012년 11월 11일 기단부에 오장경, 금강저, 오불(五佛), 108침향염주, 다라니 등을 봉안하였다.
ㅡㅡㅡㅡㅡ
<기증문>
이 석탑은 길상사를 무주상보시한 길상화(吉祥華)보살님과 법정(法頂)스님의 고귀한 뜻을 기리고 길상사와 성북성당, 덕수교회가 함께 한 종교간 교류의 의미를 전하기 위해 무상으로 기증하였습니다.
기증일자 : 2012년 11월 11일
기증자: 백성학, 1940년 4월 18일생 영안모자 회장
ㅡㅡㅡㅡㅡㅡ
이후 시절인연으로 미얀마의 제1보궁 우뚜리와 완사 큰스님이 1,600년 전 고탑(古塔) 해체 과정에서 직접 출토하신 부처님 오색정골사리, 구강사리, 응혈사리와 제자인 목건련존자, 마하가섭존자, 라훌라존자 등의 사리를 2013년 8월 25일 탑신부에 봉안하였다.
[더하기] ㅡ 탑과 금당의 관계
[산사로가며]-[사찰의 기본구조]-[가람배치]를 참조하기 바란다.
위의 사진, 불국사의 경우는 쌍탑일금당식 배치라고 말한다.
https://sansaro.tistory.com/6
[석탑의 부분 명칭 보기]
- 기단부 : 터를 다진 후 터보다 한층 높게 쌓은 단으로 탑에서는 지반에서부터 옥신굄까지이다.
- 탑신부 : 기단부 위에 있는 탑의 몸체가 되는 부분으로 옥개석·낙수면·우주 등으로 이루어진다.
- 상륜부 : 탑두부. 맨 꼭대기 지붕돌 위의 금속이나 돌로 만든 장식으로 보주·용차·수연·보개·보륜·앙화·복발·노반 등으로 이루어진다.
[참고] - 일본의 목탑, 야마구치현 국보, 루지코지 5층목탑 (山口 瑜璃光寺 五重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