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문에 들어

금강문(金剛門)과 금강역사

by 황보근영 2023. 4. 19.
법주사 금강문

산사로 들어가는 문. 부처님 세계로 들어가는 수미산문은 대체로 세 개의 산문이 있다. 곧, 삼문(三門)이다. 일심으로 찾아가는 일주문, 부처님 수호신 천왕문, 다신 둘로 나뉘어서는 아니되는 불이문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어떤 사찰에는 일주문과 천왕문 사이에 가람과 사찰의 수호신인 인왕(仁王)과 금강 역사(金剛力士)를 안치한 문도 있는데 '인왕문' 또는 '금강문'이라고 부르며, 때론 천왕문 입구 벽에 그림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속리산 법주사(法住寺)는 불이문 없이 일주문-금강문-천왕문을 거쳐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간다.

수덕사 금강문
아금강역사
훔금강역사

■ 아ㆍ훔 금강역사
들어가면서 왼쪽은 나라연금강(那羅延金剛)이고 오른쪽은 밀적금강(密迹金剛)이니, 나라연금강은 천상계의 역사로서 힘이 코끼리의 백만배나 된다며 힘이 세다하여 '나라연'이라는 이름을 가졌고, 밀적금강은 손에 금강저(金剛杵)라는 무기를 쥐고 부처님을 호위하는 야차신의 우두머리로 부처님의 비밀스런 사적을 모두 듣겠다는 서원(誓願)을 세웠으므로 '밀적'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한다. 나라연금강은 입을 크게 열어 '아'라며 소리치며 공격형의 자세를 취하여 '아금강역사'라 하고, 밀적금강은 입을 굳게 다문채 방어형 자세를 취하니 '훔금강역사'라 부른다. 범어인 '아(A)'와 '훔(Um-)'은 영원, 완성, 조화, 통일, 성취, 시작과 끝 등의 신령스런 주문인 '옴'에 나온 말로써, '아(A)'는 시작이며, '우(U)'는 유지이며, '움(M-)'은 끝이며 또한 여운이다.

 석굴암의 금강역사상은 그 조형미로 볼 때에 세계 제일의 것이라 자부해도 결코 허튼 소리가 아닐 것이다. 이제 겨우 수미산 중턱에도 못 미쳐 지쳐있는 이 구도자로 하여금 머잖아 완성과 영원의 자리에 이를 수 있다며 격려라도 하듯, 무엇으로도 파괴되지 않는 금강석(다이아몬드)와 같은 믿음과 솟구치는 힘으로 나를 맞이하고 있다.

석굴암 아금강역사상석굴암 훔금강역사상

■ 쌍계사 금강문과 보현ㆍ문수동자상

나라연금강역사와 보현동자상

■ 코끼리와 보현보살
부처님의 덕을 상징하는 동물로 알려진 코끼리는 보현보살과도 함께한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법화경>에서 보현보살은 흰 코끼리를 타고 <법화경>을 독송하는 이를 수호해야 한다고 애정을 드러내는 듯하다. 흰 코끼리는 원력을 상징하면서도 인도를 가리켜서 불교가 인도로 전래되었음을 보여준다.

밀적금강역사와 문수동자상

■ 사자와 문수보살

문수보살은 바로 이 지혜를 상징화한 보살이다. 역사적 존재라기보다 ‘상구보리 하화중생’ - 깨달음을 구하고 중생을 제도한다 - 이라는 불교적 이상을 구현하는 ‘상징적 존재’다. 보현보살이 ‘대행(大行)의 구현자(具現者)’이고, 지장보살이 ‘비원(悲願)의 표상(表象)’이듯 문수보살은 ‘지혜의 상징’이다. 부처님의 지혜를 상징화.이상화한 존재다.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61433

23-문수보살 - 불교신문

사진설명: 중국 산서성 오대산 중대에 모셔져 있는, 사자를 탄 앳된 모습의 문수동자상. 문수보살의 깨달음은 언제나 젊음과 생명력을 지닌다고 여겼기에, 문수보살은 동자의 모습으로 형상화

www.ibulgyo.com


절에 가서 대웅전이나 대적전을 살펴보면 중앙의 부처님을 협시하는 두 보살이 있습니다. 바로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과 행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이지요.  화엄경에 법신 비로자나불을 협시하는 두분의 보살이 문수, 보현보살로 나오지요.
그른데 석가모니부처님은 화신 석가모니불이시잖아요. 그러니까 진리의 본체인 법신불을 모시는 두 보살님이 화신 부처님의 협시보살이기도 한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불상으로는 거의 연화좌 위에 앉아 계시지만 벽화에서는 문수보살은 푸른사자를 타고 있고, 보현보살은 흰 코끼리를 타고 있습니다.
음양오행사상에 있어서 좌측이 본질이며 우측이 응용이 됩니다. 좌측의 지혜가 본질이요, 우측의 구제행이 응용이 되는 셈이지요. 좌측 문수보살이 상구보리라면 우측의 보현보살은 하화중생입니다.
오행에서는 동쪽이 목(木)이니 청색이요, 서쪽이 금(金)이니 백색입니다. 사자와 코끼리의 색깔은 여기서 나온 것이지요.
그런데 왜 좌협시 문수보살이 동쪽이 될까요. 동양사상에 있어서 천자는 항상 남쪽을 보고 앉는다고 되어 있습니다. 즉 왕은 남쪽으로 앉아야만 합니다. 이 이야기는 조선태조때 경복궁의 방향을 어디로 할 것인가를 두고 무학스님과 정도전의 다툼에서도 나타 나는 이야기 이지요.
각설하고 부처님도 법왕(法王)이시니 남쪽으로 앉겠지요. 남쪽으로 앉은 상태에서 좌측은 동쪽이 됩니다. 그렇다고 절마다 건물마다 다 방향이 다른데 부처님이 남쪽으로 앉으려고 건물에서 모서리에 앉거나 할 수 없잖아요.
https://m.cafe.daum.net/amtb/6Zfz/375

문수보살 사자타고, 보현보살 코끼리 탔네!

절에 가서 대웅전이나 대적전을 살펴보면 중앙의 부처님을 협시하는 두 보살이 있습니다. 바로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과 행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이지요. 화엄경에 법신 비로자나불을 협시

m.cafe.daum.net

'산문에 들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이문(不二門)  (0) 2023.04.19
천왕문(天王門)  (1) 2023.04.19
일주문(一柱門)  (1) 2023.04.19
탑비전  (0) 2023.04.19
부도전  (0) 2023.04.19